연구

  • 국회미래연구원 메인페이지
  • 연구
  • 자료실(25년 이전 연구자료)

페이지 인쇄하기
「국가미래전략 Insight」 AI 시대 대한민국 사회와 개인의 미래: 기술과 공간의 변화가 주도하는 2050년 미래와 대응전략  <제94호>

브리프형 심층분석 보고서

「국가미래전략 Insight」 AI 시대 대한민국 사회와 개인의 미래: 기술과 공간의 변화가 주도하는 2050년 미래와 대응전략 <제94호>

  • 연구책임자

    여영준

  • 연구진

  • 발간일

    2024-04-22

  • 조회수

    3,880

요약





개인의 삶 관점에서 AI 시대 2050년 대한민국의 미래 사회 모습을 전망하면서 선호하는 미래로의 이행을 위한 전략과제를 탐구하고자 한 결과를 담았다. 분석 결과, 대한민국 사회가 현재의 경로를 그대로 따라간다면 ‘파편화된 균열과 분열 사회’ 속 ‘각자도생하는 개인’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에 반해 개인의 삶의 질 측면에서 가장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날 2050년 미래 시나리오는 ‘협동적 다원주의 사회’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사회가 전개되었을 때 개인의 선택권과 일상생활의 유연성이 확대되고, 개인 역량과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가능성이 커 ‘자기주도적 개인’이 확대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우리가 가장 회피해야 할 미래 시나리오는 기술과 소수 계층이 사회를 지배하는 ‘배타적 지능솔루션주의 사회’로서 개인들의 고립감이 가장 높아지는 사회로 파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