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광장   >   홍보관   >   언론보도

언론보도

[중앙일보 공동기획] 2050년에서 보내온 경고

작성일 : 2019-03-04 작성자 : 국회미래연구원

	

[중앙일보] 

전문가 70명 참여 13개 분야 예측...대안 제시



국회미래연구원·중앙일보 공동기획



프랑스 남부에서 발견된 16세기 프랑스의 점성술사 노스트라다무스의 책 초판. [중앙포토]



 서구의 대예언가 노스트라다무스(1503~1566)나 동양의 어느 역술가처럼 콕 집어내듯 정확한 미래를 예측하는 일은 과연 가능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불가능하다는 게 현대 미래 연구자들의 말이다. 그래도 귀신같이 맞추지 않느냐고 반문한다면 그건 ‘운이 좋아서 어쩌다 맞춘 것일 뿐’이라고 말한다. 모든 예측을 매번 정확하게 맞출 수는 없다는 얘기다.


어떻게 분석했나

바라는 미래와 발생할 미래 비교


국회미래연구원과 중앙일보가 공동기획한 2050년 대한민국의 미래 예측은 하나의 정확한 미래를 예측한 것이 아니다. 과거로부터 이어진 현재의 상황이 앞으로도 계속될 경우 발생할 가능성이 큰 미래와, 바람직하면서도 황당무계하지 않은  ‘선호 미래’ 등 여러 가지 미래 시나리오를 과학적으로 전망했다.      
   
2050년을 예측한 13개 분야는 최근 10년간 학술 데이이터베이스(SCOPUS)와 1년간의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대상으로 키워드를 뽑아 추려내는 방식으로 선정됐다. 또 분야별로 미래를 변화시킬 수 있는 다섯 가지 중요 동인을 찾아냈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 대상 조사(델파이), 추세 분석, 집중 인터뷰 등의 방법론을 사용해, 최소 4가지 이상의 미래 시나리오를 도출했다.    


기후변화와 환경 분야의 2050년 예측 역시 기존 국내외 문헌을 검토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환경정책, 에너지 수요와 생활방식, 기후정책,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등을 측정한 보고서(MEA: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뿐 아니라 과학과 기술, 가치 시스템과 사회적 개인적 선택 등을 담은 보고서(GEO:Global Environment Outlook), 인구와 경제성장, 에너지 수요를 예측한 보고서(SRES: Special Report on Emission Scenario) 등을 살펴봤다.  
   
박성원 국회미래연구원 연구위원은 “기후변화와 환경의 미래는 다양한 동인과 정책변수ㆍ돌발변수ㆍ상태변수ㆍ영향변수 등이 상호작용에서 형성된다”며“이런 과정을 통해 우리 사회가 추구할 '선호 미래'와 피해야 할 '회피 미래' 등을 정한 뒤, 지향과 대응ㆍ회피의 관점에서 추진해야 할 과제를 도출했다”고 말했다.  


원문: https://news.joins.com/article/23402433




[중앙일보] 

"한국 기업 30년 뒤, 글로벌 IT 기업 하청업체로 전락"


 충남까지 올라온 아열대 기후 속 한반도. 여름철 일상화된 폭염과 오존 주의보, 겨울 하늘엔 숨 막히는 미세먼지. 석탄 화력 발전소가 다시 등장하고, 수량ㆍ수질 모두 악화한 물 부족 국가, 중산층이 무너져 내린 승자독식의 사회, 분노를 등에 업은 거리정치의 일상화, 글로벌 정보기술(IT) 대기업의 하청업체로 전락한 한국 기업….    
   
지난해 5월 출범한 국내 최초의 상설 국가 미래연구기관, 국회미래연구원이 첫 프로젝트로 2050년 대한민국의 미래를 예측한 보고서 ‘2050년에서 보내온 경고’를 3일 발표했다. 기후변화와 식량/수자원ㆍ 에너지ㆍ우주과학ㆍ정보기술ㆍ생명공학ㆍ경제ㆍ정주여건ㆍ사람ㆍ인구/사회ㆍ정치/행정ㆍ국제정치ㆍ북한 등 13개 분야를 예측한 이 보고서 속 대한민국 미래는‘암울 일색(一色)’이다. 2050년까지 고속성장을 거쳐 미국 다음으로 1인당 소득이 높은 국가가 될 것으로 전망한 골드만삭스의 미래예측이나, 한국을 찾은 수많은 미래학자가 얘기한‘장밋빛 미래’는 찾아볼 수 없다.  1인당 국내총생산(GDP) 4만9000달러, 삶의 질 순위 세계 10위의 세계 일류국가를 제시한 노무현 정부 당시의 ‘함께하는 희망 한국, 비전 2030’과도 딴판이다.    
   
왜 이런 디스토피아적 미래예측이 나왔을까. 한국의 30년 뒤 미래는 정말 절망적일까. 해답은 보고서 속에 있다. 국회미래연구원은 13개 분야별로 최소 3개 이상의 종합 미래예측 시나리오를 도출해냈다. 지금까지 해온대로 우리가 문제점에 대해 대처하지 않아 지금과 같은 상황이 계속될 경우에 일어날 가능성이 가장 큰 미래 시나리오와 사람들이 원하는 바람직한 미래, 그리고 그사이의 시나리오들이다.    
   
김유빈 국회미래연구원 연구위원은“안타깝게도 보고서 속 바람직한 미래 시나리오와 일어날 가능성이 큰 미래 예측이 일치한 분야는 하나도 없었다”며 “지금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가 지속한다면 우리의 아들ㆍ딸이 주역이 돼 살아갈 30년 뒤 세상은 우울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미래는 불변의 것이 아니다. 미래는 예측하는 순간 그 미래를 바꾸는‘힘’이 있다. ‘2050년에서 보내온 경고’라는 보고서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 국회미래연구원은 30년 뒤 미래를 연구ㆍ조사해 예측하고, 정책 대안까지 제시했다. 예측이 아니라 경고와 대안 제시가 보고서의 본래 목적이다. 이번 연구에는 국회미래연구원 내부 연구인력과 부문별 외부인력 5~6명 등 총 70명의 전문가가 참여했다. 중앙일보는 국회미래연구원과 공동기획을 통해 13개 분야에 대한 미래예측을 시리즈로 보도한다.


박진 국회미래연구원장은“그간 역대 정권마다 미래전략보고서를 냈지만, 낙관적인 장밋빛 미래상을 위주로 기술한 획일적 미래상에 치우쳤다”며“국회미래연구원은 정파의 이해를 초월해 가능성 있는 다양한 미래 시나리오를 그린 뒤 국민이 원하는 바람직한 미래로 옮겨갈 수 있도록 정책 대안까지 제시하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말했다.  

원문: https://news.joins.com/article/23402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