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연구   >   미래보고서   >   브리프형 심층분석 보고서

브리프형 심층분석 보고서

주요 미래이슈를 적시에 심층분석하여 브리프 형태로 제시합니다
ㆍ「국가미래전략Insight」(2020.08 ~ 현재), 「Futures Brief」(2021.07 ~ 현재)
ㆍ「국제전략Foresight」(2020.09 ~ 2022.12), 「국민행복Focus」(2022.06 ~ 2022.12)

「국가미래전략 Insight」 S(지속가능성)-D(디지털 공정성)-G(글로벌 경쟁력): 중소기업·소상공인의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과제 <109호>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은 우리나라 경제의 핵심축을 이루고 있으며, 고용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글로벌 경제 환경의 급변,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 탄소중립을 포함한 지속 가능한 성장 요구 등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새로운 기회와 함께 복잡한 도전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장기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22대 국회가 선제적인 입법 및 정책적 지원을 통해 미래지향적 해결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우리나라 중소기업・소상공인 부문의 미래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성장 지원을 위한 중장기적인 입법・정책적 수요는 ‘S(Sustainability, 지속가능성)’ - ‘D(Digital fairness, 디지털 공정성)’ - ‘G(Global competitiveness,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맞닿아 있음을 파악하고 있다. 이에, 탄소중립과 ESG 경영 역량 강화,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공정경쟁 환경 구축, 글로벌화 지원 등을 다루는 ‘S-D-G 전략’ 이행을 통해 우리나라 중소기업·소상공인 부문의 경쟁력 강화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제언하고 있다.

연구 책임자 : 여영준

작성일 : 2024-09-30

조회수 : 3748

「국가미래전략 Insight」 환경인증의 두 가지 미래: 지속가능투자 vs 그린워싱<제103호>

전 세계는 신성장 동력으로써 녹색전환을 추진하고 있으며, 관련 기술·산업 우위를 점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중이다. 기업은 ‘녹색’ 또는 ‘지속가능성’ 활동을 증명하는 ESG 인증 같은 환경인증이 기업의 투자유치와 소비자 선호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기대감에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의 반대 급부로 무분별한 환경인증이 ‘그린워싱’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유럽을 중심으로 환경인증제도 고도화와 그린워싱 방지를 위한 제도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한편, 과거의 인증이 자발적이었다면 향후 지속가능성/기후 공시 의무화에 따른 환경인증은 과거와는 다른 무게로 다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본 브리프는 이렇게 빠르게 확장·변화하는 환경인증의 미래에 대비도를 높이고자 ① 환경인증에 대한 개념 및 국내 이슈를 소개하고, ② 현행 환경인증 제도에 기반하여 지속가능투자와 그린워싱과의 연관성을 설명한다. 이와 더불어 ③ 아직 가시화되지 않았으나 미래에 이슈화될 가능성이 높은 이머징 이슈를 제시하고, ④ 국내 기업이 글로벌 지속가능투자 시장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뒷받침 되어야 할 환경인증 제도 및 그린워싱 방지에 필요한 국내 제도 개선방안 대하여 제언한다.

연구 책임자 : 김은아

작성일 : 2024-07-22

조회수 : 3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