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연구   >   미래보고서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20-37] 생애주기에 따른 한국인 남녀의 노화 연구: 생체 적응 부하 지표를 중심으로

작성일 : 2020-12-31 연구 책임자 : 허종호

[20-37] 생애주기에 따른 한국인 남녀의 노화 연구: 생체 적응 부하 지표를 중심으로

고령화 정책에 있어 연령 및 성에 특화된 정책 및 생애 주기적 접근이 미흡하다. 특히, 인구집단 수준에서 나이에 따른 남녀 간 다른 생물학적 노화 과정의 궤적을 파악하는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본 연구는 장기간에 축적된 국가대표성을 갖춘(nationally representative) 데이터를 활용, 객관적인 생물학적 노화 지표인 생체적응 부하(allostatic load, AL)를 사용하여, (1) 지난 20년간 남녀 간 건강격차의 추세를 확인하고, (2) 식별문제(identification problem)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최신의 위계적 연령-기간-코호트 모델링(Hierarchical Age-Period-Cohort modeling)을 통해 연령과 기간, 출생코호트에 따른 남녀 건강의 격차를 분석하고, (3) Oaxaca-Blinder decomposition을 이용하여 격차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생체적응 지표의 자료원으로 가장 많은 지표를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에 걸쳐 일관적으로 조사하고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하고 위계적 연령-기간-코호트 모델링(HAPC modeling)의 활용하여 연령, 기간, 출생코호트의 영향력을 분해하고 아울러 옥사카-블라인더 분해방법으로 남녀 건강격차에 기여하는 요인과 크기를 분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생물학적으로 남성은 여성보다 평균적으로 건강이 안 좋았다. 둘째, HAPC 분석 결과, 남녀의 건강 추세와 궤적이 연령, 기간 및 출생코호트에 따라 상이하였다. 분해 분석 결과, 사회 경제적 특성 및 건강 행동 요인이 남녀의 주된 격차 기여요인임을 확이하였다. 노화와 관련된 만성질환의 시의적인 예방 및 중재적 개입 시기를 제안하였다. 특히 건강과 노화에서의 APC 연구를 기반으로 출생코호트에 기반한 정책 제안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