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연구   >   미래보고서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기획연구보고서 22-02) 한반도 평화구축의 미래와 여성

작성일 : 2022-12-31 연구 책임자 : 김태경

(기획연구보고서 22-02) 한반도 평화구축의 미래와 여성
(기획연구보고서 22-02) 한반도 평화구축의 미래와 여성


(1)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표는 지속가능한 한반도 평화구축의 미래를 여성의 관점에서 탐색, 준비하는 것이다. 중장기적 관점에서 한반도의 지속 가능한 평화구축의 미래는 그 미래가 실현되는 공간, 즉 한반도를 거주 공간으로 살아가는 주민들의 미래에 대한 전망, 선호에 영향력을 받으며 이러한 미래전망, 미래선호를 포괄적으로 반영할 때 실현에 가까워진다. 중장기적 시야에서 여성들의 평화구축에 대한 미래전망과 미래선호를 탐색하는 것은 무엇보다 아직까지 여성의 참여, 대표가 제한적인 현재의 한반도 평화과정의 변화를 위해서 필요하다.


(2) 주요 내용

본 연구는 여성-평화구축의 다양한 논의들에도 불구하고 젠더의 사회적 구성과 관련해 평화, 안보 페러다임 자체가 어떤 젠더화된 성격을 갖는지에 대해서는 생산적인 논의가 더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한다. 평화, 안보에 대한 기본적인 관심을 가진 여성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FGI)을 수행함으로써, 본 연구는 안보, 평화 담론 및 실천이 갖는 젠더화된 성격, 즉 특정 성별에 따라 기대되는 일련의 태도, 가치, 규범 등 체계가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되는 측면을 조명했다. 연구자는 유엔 여성ㆍ평화ㆍ안보(Women · Peace · Security) 의제의 틀 하에서 서울시 여성들을 대상으로  세 가지의 소주제, 즉 ①여성과 일상의 안전, ②여성과 일터/가정, ③여성과 한반도 평화로 소그룹 토론을 진행하여 한반도 평화구축의 미래에 대한 전망과 선호를 조사했다.


(3) 정책 대안 및 시사점

20-60대에 걸친 서울시 거주 여성들의 FGI(5그룹, 총 25명) 결과, 여성들은 개인 안전, 삶의 질, 평등, 공정 등 광범한 차원에서 평화를 정의하고 변화, 대응을 요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여성에게 한국은 더 안전하지 않은 사회라는 점, 법제도 차원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재하는 일터(혹은 가정)에서의 젠더 간 불평등을 지적했고, 한반도 평화에 대해서는 다양한 위협인식과 미래의 평화, 통합을 위한 폭넓은 제안과 상상을 내놓았다. 본 연구의 일상의 안전, 삶의 질 보장, 평등과 정의의 조건에 대한 여성들의 문제의식, 선호 결과는 지속가능한 평화구축의 관점에서 평화가 여성의 인간안보, 기본권의 차원에서 포괄적으로 정의되어야 하며, 이러한 대응이 기존의 전통안보 관점의 ‘소극적 평화’ 노력과 동시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공공누리